뇌 손상에 기인한 언어 장애는 실어증과 운동구어장애로 나타납니다. 실어증은 언어를 이해하고 구상하는데 문제가 나타나며, 운동구어장애는 언어를 적절히 이해하고 구상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음성 산출이나 발성 및 발음과 같이 언어를 표출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장애입니다. 발성 및 발음 과정에 문제를 나타내는 운동구어장애는 운동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구어 실행증과 비정상적 근기능 및 운동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마비성 구어장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치료대상
K-WAB / K-BNT / U-TAP 등의 공식검사, 다양한 심화 검사를 사용하여 언어장애의 유형과정도를 평가하고 있습니다.
치료평가
치료단계